옥천군에서 첫동네 유독 저수지 없는 시골동네
안내면에서 저수지없는 마을이 어느곳인지 물어보고 알아보았습니까?
위치: 정구지밭골 양지말 김우형씨 집터옆 뽕나무밭(고라데기.큰골(버려진땅)_.작은골)
단도직입적으로 말해서 방하목리에 저수지 만들어달라는데 외면하는 이유가 뭡니까
서대저수지가 지난날 수리조합이라고 하였는데 그렇게 크게 만들어달라는것도 아니고
조그마하게 만들면 되는데 그것이 뭐 그리 힘들고 어렵다고 묵묵부답인가
쉽게 말하면 논 4백평정도 크기보다 작을것인다.
일잘하는 옥천에 다시한번 기대해보겠습니다.
깊디 깊은 산골에 저수지를 만들면
대청댐 최상류지역의 발원.물이 풍부한 저수지가 될것이다.
방하목리의 물부족해소(물이없어서 타들어가는 논 갈라지는 논바닥)
봄가뭄이 얼마나 심하면 통영 욕지도 주민들이 식수고갈로 통영으로 이주및 아침뉴스에
충남지방의 농작물 심은것이 고사직전이라는 뉴스를 보았다,
이렇게 가뭄에는 계절이 없듯이 우리나라의 물부족해소책은 전무하다.
만약 주위에서 산불발생시 쉽게 헬기로 급수진화.
정구지밭골 입구 황씨묘소에서~ 질신리 말목고개까지 임도확장 설치등 절실.
옥천~보은을 연결하는 유일한 산길이지만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넘나들고 있다.
질신리~방하목 넘나드는 임도를 확충하면 주변에서 산불발생시 그만큼 빠르게 진화할수 있다.
산불재난 최소화를 위해 산불진화임도 확충 시급 2027년까지 임도확충 산림청
임도가 있는 경우에는 진화인력과 장비가 현장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조기 진화할 수 있었던 반면, 임도가 없는 지역은 인력 진입이 어려워
그만큼 산불 진화도 더딜 수밖에 없었다.
입력 2023.03.14 (12:17)수정 2023.03.14 (12:24)뉴스 12
00가
지난해부터 이어진 남부지방 가뭄이 좀처럼 해소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가뭄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하천별로 물을 나눠 쓰는 품앗이 카드를 꺼내 들었는데, 얼마나 효과를 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광주 시민들이 먹는 물로 쓰는 동복호 상류.
댐 건설로 수몰됐던 다리가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물이 마른 호수에는 덤불만 무성합니다.
어제(13일) 기준, 동복댐의 저수율은 19.8%.
14년 만에 20%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최악의 가뭄으로 기록된 2009년보다 한 달이나 빠릅니다.
광주·전남의 또 다른 식수원인 주암댐 역시 저수율이